google.com, pub-1964064866533337, DIRECT, f08c47fec0942fa0 청소년지도방법론: #5-(2) 청소년 지도 환경과 지도 매체
본문 바로가기
청소년학

청소년지도방법론: #5-(2) 청소년 지도 환경과 지도 매체

by 제이쌤 2023. 3. 8.
728x90
반응형

청소년 지도 매체

 

지도매체의 개념

매체(media)라는 용어는 교육학에서 교육 매체(instruction media)라는 용어로 보편화되었다.

매체란 메시지를 전달하고 받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수단으로 의사소통의 채널을 말한다.

 

매체는 4가지 기능을 갖고 있다.

 

첫번째 매개적 보조기능을 갖고 있다.

이는 지도자가 지도할 때 보조 수단으로 매체를 사용하는 것은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의사소통을 보다 원활히 할 수 있고 가르치는 데 사용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어 교수학습과정을 더 능률적으로 할 수 있다.

 

 

두 번째 매체에는 정보 전달 기능이 있다.

한 사람의 지도자가 동시에 많은 청소년들을 대하는 상황일 때는 상당한 어려움에 직면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크게 공헌했던 것이 과거 인쇄 매체가 되었고 현재까지도 중요한 매개수단으로 쓰이고 있다.

라디오, TV, 컴퓨터 등 통신 매체가 보급된 후에는 훨씬 많은 정보를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되었다.

 

 

세 번째 매체는 학습 경험 구성 기능을 갖추고 있다.

매체는 단순히 매개적 보조수단이나 정보를 전달해 주는 기능만이 아니라 매체 그 자체가

학습 경험을 구성하는 기능을 한다.

학습자는 매체를 통해 학습할 수 있지만 매체 자체를 학습 대상으로 삼아 기능적인 경험을 습득할 수 있다. 이는 매체가 학습 내용인 동시에 경험을 구성하는 기능을 갖고 있는 것이다.

 

 

넷 번째 매체는 교수 기능을 갖추고 있다.

교수 기능은 매체를 효과적으로 구성, 활용하여 학습자의 지적 기능을 개발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매체에는 컴퓨터, 교육 TV, 교육 영화 등이 있다. 매체는 동기 유발과 학습 촉진 기능을 갖고 지각, 인지, 표현 능력을 증진시켜줄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하게 사용하면 훌륭한 교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지도 매체의 유형

1937년 호반(Hoban),과 1947년 데일(Dale)에 의해 시작되었다. 

Hoban은 시청각자료의 가치를 구체성과 추상성에 의해 판단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다양한 매체들을 구체화 추상의 축을 사용하여 분류하였다.

Hoban의 시청각 매체 분류

언어로 갈수록 추상성이 높은 매체를 의미하고 견학으로 갈수록 구체성이 높은 매체를 의미한다.

 

 

호반의 제자인 데일은 호반의 시청각 매체 개념을 더욱 확장하여 '경험의 원추' 라는 시청각 매체 분류 모형을 제시했다.

학습에서 가장 효과적인 것은 직접적인 경험을 통한 이해며 간접적인 경험을 거쳐 언어적인 상징적 단계에 이르는 것이 효과적인 순서라고 보았다.

Dale의 경험의 원추 모형

아래로 갈수록 구체성을 띤 매체를 의미하여 위로 갈수록 추상성을 띤 매체를 의미한다.

가장 구체적인 매체는 경험이고 가장 추상적인 매체는 언어와 기호이다.

데일은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 구체적인 매체 학습을 통해 이해하고 점차적으로

간접적인 매체 중심 학습으로 가야 한다고 보았다.

 

직접적이고 목적적인 경험-전시까지가 행동적 단계이고 TV-사진 까지 영상적 단계, 시각기호-언어기호가 상징적ㆍ추상적 단계로 분류할 수 있다.

 

 

청소년 지도 매체의 선정과 준비

지도 매체의 선정과 준비에 있어 고려해야 할 요인들은 다음과 같다.

1. 청소년의 특성에 맞춰 매체를 선정해야 한다.

청소년의 특성에 연령, 지적 수준, 태도, 적성 등이 포함되며 이 특성들은 지도 매체를 선정하기 전 신중하게 고려해야 할 요인이다.

 

2. 청소년 집단의 규모는 매체를 선정하는 주요 요인 중 하나이다.

집단 설명식 수업 형태로 진행하는 경우 파워포인트 등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3. 지도 내용의 목표와 내용에 따라 적절한 매체를 선정하고 조직하는 것이 필요하다.

청소년 문화 유산 답사와 같은 프로그램은 시각적 매체를 활용하는 것이 좋고, 오리엔티어링 같은 프로그램은 지도나 교재 같은 인쇄 매체를 활용하여 학습할 필요가 있다.

 

4. 지도 매체는 매체의 속성과 기능에 따라 활용하여야 한다.

 

5. 물리적 환경에 따른 선정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6. 매체의 실용성도 확인해야 한다.

매체의 실용성은 이용가능성, 이용시간, 매체 구입 비용, 매체 사용의 접근성 등으로 요약할 수 있는데 매체의 비용이 터무니없이 비싸다면 매체의 실용성은 떨어지기 때문에 이와 같은 사항을 고려해야 한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