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com, pub-1964064866533337, DIRECT, f08c47fec0942fa0 청년도약계좌 신청, 가입조건 정리: 5000만원 모으기
본문 바로가기
생활 정보

청년도약계좌 신청, 가입조건 정리: 5000만원 모으기

by 제이쌤 2023. 3. 22.
728x90
반응형

미래를 위해 청년들이 적금을 드는 것은

필수인 시대입니다.

여기서 5년간 매달 70만원씩 적금했을 때,

정부 지원금과 이자를 더해 최대 5000만원을

만들 수 있는 것이 바로 '청년도약계좌'입니다.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들의 자산형성에 도움주는 상품 중 하나입니다.

가입조건에 해당하는 청년이

매월 70만원 한도 조건 내에서 5년간 5000만원의

자금을 모을 수 있는 상품이 올해  6월 출시됩니다.

5년 만기 비과세 상품이며, 납입한 금액에 비례해서

정부에서 일정 비율 지원금을 지원합니다.

 

올해 6월에 출시되는 상품이라 아직

금리 %는 나오지 않은 상태입니다.

그러나 시중의 적금 상품 평균 3-4% 대의 금리보다

높을 것이라 예상하고 있습니다. 

 

*가입후 3년은 고정금리 이후 2년은 변동금리가 적용됩니다.

 

728x90

 

가입 대상
-만 19세~34세 청년
-개인소득 7천500만원 이하임과 동시에 중위 180% 이하에 해당.

** 하나의 기준만 충족하면 되는 것이 아닌
두가지 기준 모두 충족하여야 합니다.
** 최대 6년의 병역을 이행한 기간은 연령 계산에 포함이 되지 않으니 군필자라면
35세라도 가입이 가능합니다.
** 직전 3개 연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에 해당이 되었다면 가입이
제한되니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청년희망적금과 중복 가입은 불가능합니다.

 

가입 대상에서 중위 180% 이하

무엇을 의미하는가?

가구원 수  중위소득 180%
1인 3,740,206
2인 6,221,079
3인 7,982,669
4인 9,721,735
5인 11,395,238
6인 13,010,366

2023년 중위소득 180% 이니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ex: 부부라면 2인 세전 월 622만원 이하여야 합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소득없이는 개설할 수 없으나

소득 확인이 된다면

아르바이트를 하는 상황에서도

개설할 수 있는 상품입니다.

그렇기에 학생 신분으로도 가입이

가능한 상품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개인 소득에 따른 정부 기여금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정부 기여금은 개인소득과

매월 납부금액에 따라 다릅니다.

 

개인소득(총급여 기준) 기여금 지급한도(월) 기여금 매칭비율 기여금 한도(월)
2,400만 원 이하 ~40만 원 6.0% 2.4만 원
3,600만 원 이히 ~50만 원 4.6% 2.3만 원
4,800만 원 이하 ~60만 원 3.7% 2.2만 원
6,000만 원 이하 ~70만 원 3.0% 2.1만 원
7,500만 원 이하 x x x

위의 표를 설명하자면,

소득이 3,600만원 이하인 경우에 매월 50만원을

납입하면 기여금 4.6%가 적용되어 정부 기여금을

매달 2만 3000원을 받게되는 것입니다.

 

다만, 총급여 소득이 총급여 6000만~7500만원

가입자라면 정부 기여금을 받지 못합니다.

그러나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가

적용되기 때문에 다른 적금상품보다

더 유리한 상품입니다.

 

반응형

 

신청기간
-2023년 6월부터 12월까지 가입신청이 가능하며
청년도입계좌 취급 기관의 앱을 통해
비대면으로 가입하도록 계획 중에 있습니다.

** 신청자는 중위 180% 조건으로 인해
개인소득과 가구소득 심사를 거쳐야하며,
청년도약계좌에 가입된 가입자는 1년을 주기로
계좌 유지 심사가 진행됩니다.
** 유지 심사에서 기준에 벗어난 경우 다음 심사까지 정부기여금이 중단됩니다.

 

5년 만기 전 해지했을 경우
-해지사유가 *특별중도해지 요건에 해당된다면, 본인 납입금 외
정부 기여금이 지급되고, 비과세 혜택도 받을 수 있습니다.
1.사망자의 사망 및 해외이주  2.입자의 퇴직  3.사업장의 폐업
4.천재지변  5.장기치료가 필요한 질병  6.생애 최초 주택구입

-일반적인 해지의 경우 본인이 납입한 부분만 지급이 되고
정부 기여금과 비과세혜택은 지원 받을 수 없습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앞서 말씀드린

청년희망적금과 중복 가입은 불가능하지만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내일채움공제 상품과는

중복 가입이 가능하니 이 점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